1. 미래를 걱정할일이 아니라, 내가 행동하지 않는 것을 걱정해야한다.
2. 나 = 인적자원 = 시스템으로 부터의 독립
3. 파괴적인 기술에 직면했을 때, 기업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명확하지 않은점은 '시한이 다해가는 기술을 보유한 개인이 그런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가?이다.
4. 우리는 문제가 무엇인지 말할수있고, 문제인 그 시스템을 파괴할 수 있으며, 스스로 변할수있다고 깨닫는 순간에 이르게 된다.
그때는 무엇이 불가능하고, 무엇이 가능한지 스스로 알게된다.
5. 경제적 어려움은 주어진 기회를 알지 못했거나 활용하지 못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겪는 정체의 결과이며, 동시에 적은 비용으로 누구나 극복할 수 있는 일이다.
6. 변화를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려는 사람에게는 엄청난 시간을 준다.
하지만 생각하고 행동하고 그것을 만들어 가야하는 당사자가 당신이라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하여야 한다.
7. 우리가 변화의 가능성에 도달했을 때 초조해지는 이유는 제대로 변화를 만들어본적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만들고 유지하는 사람들에게 평생토록 주입되었기 때문이다.
- 경제적으로 과잉보호상태에 노출되어 시스템에 영원히 봉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내가 누구인지 재발견하고, 삶을 재설계하고, 그 과정에서 시스템을 재구성하는 일을 한다.
8. 어떤일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그 일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아는 것은 훨씬 더 가치있는 일이다.
9. 우리는 원한다면 새로운 기회와 더 훌륭한 생태계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10. 새로운 사고로 새로운 행동을 창출할수는 있지만, 새로운 행동으로 새로운 사고를 찰출하지 못하는 일은 없다.
11. 사물의 기원을 깊이 생각하면 그것으로 무엇이 가능한지 이해할 수 있다.
12. 당신은 철저하게 자립해야 한다.
13. 우리는 자신의 생각과 의견보다 타인의 생각과 의견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14. 성공은 내적인 척도이다.
- 돈과 명성은 사회가 우리에게 믿도록 만든 성공을 측정하는 척도의 하나지만, 우리 사회에서 정말 현명한 사람들은 '행복'이 궁극적인 성공이며 그것을 성취하는 경로는 얼마든지 많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있다.
무엇보다 돈과 명성은 우리가 이 두가지 척도를 목표로 하지 않을 때 우리에게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
15. 소유는 행동해야만 존재한다.
16. 위대한 일들은 사물이 아니라 어떠한 순간이다.
17. 우리는 이미 소유의 세계가 아닌, 연결의 세계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사람들은 물건을 소유하려는 대신 연결하려고 한다. 그들은 자신이 소유한 대부분의 물건을 아주 짧은 시간동안만 사용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18. 모든 사람들이 시스템이 가짜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대안할 방도가 없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굴러가는 것처럼 보인다.
19. 우리는 세상이 필요로하는 것과 이 필요에 대응하는 방법을 제대로 알아야 하고, 그에 따른 존경도 받아야 한다.
시장은 정치가의 약속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시장은 당신이 오늘날 어떤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어떤일로 성공했는지 신경쓰지 않는다.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경제활도에 관해 끊임없이 자문하여야 한다.
우리가 바뀌면 인생이 바뀐다. 우리가 나아질수록 인생도 나아진다.
그러니 일이 쉬워지길 바래서는 안된다.
20. 우리는 타인이 행복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행복해지지 않는다.
21. 당신이 소유하는 것들이 결국 당신을 소유하게 된다.
22. 돈 가치가 있는 이유는 물건을 살수있기 때문이 아니라, 돈으로 시간을 절약하여 우리가 세상에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더 많이 할수있게 하기 때문이다.
23. 재정적 독립 : 살면서 반드시 해야한다고 들은것으로 부터 얼마나 선택의 자유가 주어졌는가?
- 부의 방정식 : 재정적 부의 비율 = (수동적소득/근로소득) X 100
24. 변화를 원한다면 스스로 먼저 시작하라. 기다리지말고, 누군가에게 허락받지 말고, 그냥 시작하라.
25. 사람들은 일자리와 산업이 사라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생각해보면 우리는 그 상황에서 어떻게 할것인지 선택할수도 있다.
변화는 너무나 충격적이지만 변화에서 우리가 할수있는 선택도 마찬가지이다.
26. 과정을 되풀이하는 장소와 시간이 있으며, 깊이 보다는 빈도가 중요하다.
27. 많이 행할수록 더 많이 알게되고, 다시 더많이 행할수있게된다.
28. 현실세계에서 피드백을 얻는것이 실제로는 실천의 문제임을 깨달았다.
29. 뉴스는 알지도 못하는 누군가가 당신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결정해서 보여준 오늘 일어난 일들의 작은 조각일 뿐이다.
30. 새로운 사고가 새로운 행동을 창출하지만,
새로운 행동은 항상 새로운 유형의 사고를 창출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